[2025.04.02] 부산 중구 사전투표소 위치 투표방법 총정리(+재보궐선거지역)
2025년 4월 2일, 전국 일부 지역에서 **재보궐선거(재선거 및 보궐선거)**가 치러집니다.
하지만 많은 분들이 "어디서?", "누구를?", "왜 선거를 다시 해?"라는 궁금증을 가지죠.
이 글에서는 2025 재보궐선거의 일정, 지역, 후보자, 사전투표소,투표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유권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정보, 지금부터 확인해보세요!
📌 재보궐선거란 무엇인가요?
재보궐선거는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합니다
- 재선거: 선거 무효 등으로 다시 치르는 선거
- 보궐선거: 당선된 사람이 사망·사퇴 등으로 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새로 선출하는 선거
즉, 공석이 된 자리를 채우기 위한 선거로, 정치 지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🗓️ 2025년 재보궐선거 주요 일정
구분 | 일정 |
선거일 | 2025년 4월 2일 (수요일) |
후보자 등록 | 3월 13일 ~ 14일 |
사전투표 | 3월 28일 ~ 29일 (금~토) |
선거운동 기간 | 3월 20일 ~ 4월 1일 |
개표 | 4월 2일 오후 8시 이후 |
❗ 선거일은 공휴일이 아니며, 해당 지역 주민만 투표 가능합니다.
📍 이번 재보궐선거가 열리는 지역은?
선거 유형 | 지역 (시도 / 시·군·구) |
교육감 선거 (1곳) | 부산광역시 |
기초단체장 선거 (5곳) | 서울특별시 구로구 충청남도 아산시 전라남도 담양군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남도 거제시 |
광역의원 선거 (8곳) | 대구광역시 달서구 인천광역시 강화군 대전광역시 유성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경기도 군포시 충청남도 당진시 경상북도 성주군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|
기초의원 선거 (9곳) | 서울특별시 중랑구, 서초구, 동작구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라남도 광양시, 담양군, 고흥군 경상북도 고령군 경상남도 양산시 |
👉 정확한 지역 확인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'내 투표소 찾기' 서비스에서 가능합니다.
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나 신분증만 있으면 투표가 가능합니다.
🧑💼 주요 후보자 및 정당 구도
2025 재보궐선거에 출마한 주요 정당은 국민의힘, 더불어민주당, 그리고 지역 기반 무소속 후보입니다.
각 정당은 정권 안정론 vs 정권 견제론을 내세우며 전략 공천과 지역 민심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.
후보별 정책과 공약을 비교해 현실적인 선택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🟠 부산 중구 사전투표소 안내 🟠
1. 중앙동 사전투표소
- 위치: 중앙동 주민센터 4층 다목적홀
- 주소: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대로41번길 10 (중앙동2가)
2. 동광동 사전투표소
- 위치: 동광동 주민센터 3층 다목적강당
- 주소: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길 105 (동광동5가)
3. 대청동 사전투표소
- 위치: 다누리복지센터 2층 다목적실
- 주소: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 97 (대청동4가)
4. 보수동 사전투표소
- 위치: 보수동 주민복지센터 2층 회의실
- 주소: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140번길 61 (보수동1가)
5. 부평동 사전투표소
- 위치: 부평동 주민센터 4층 회의실
- 주소: 부산광역시 중구 중구로 23 (부평동1가)
6. 광복동 사전투표소
- 위치: 광복동 주민센터 2층 회의실
- 주소: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로55번길 10 (신창동1가)
7. 남포동 사전투표소
- 위치: 남포동 주민센터 6층 회의실
- 주소: 부산광역시 중구 자갈치로 68-1 (남포동4가)
8. 영주1동 사전투표소
- 위치: 영주제1동 주민센터 2층 1·2 회의실
- 주소: 부산광역시 중구 대영로224번길 10 (영주동)
9. 영주2동 사전투표소
- 위치: 영주제2동 주민센터 4층 주민홀
- 주소: 부산광역시 중구 동영로 71-2 (영주동)
사전투표소는 3월 28일~29일 오전6시~오후6시까지 입니다. 사전투표소는 본투표소와 다를 수 있습니다. 알고 있더라도 꼭 한번 더 확인하시길 바랍니다. 중앙동 동광동 대청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영주제동 영주제1동 영주제2동 주민은 위 가까운 사전투표소에서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.
🗳️ 투표는 어떻게 하나요?
사전투표와 당일투표, 모두 참여 가능합니다.
✅ 사전투표 (3/28~29)
- 시간: 오전 6시 ~ 오후 6시
- 신분증만 지참하면 어디서든 투표 가능 (전국 단위)
- QR코드 또는 검색으로 사전투표소 확인 가능
✅ 본투표 (4/2)
- 주소지 관할 투표소에서만 가능
- 오전 6시 ~ 오후 8시까지
- 반드시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 등) 지참
- ⚠️ 투표는 반드시 한 사람당 1표! 투표용지 훼손 시 무효 처리되니 주의하세요.
🧭 왜 이번 재보선이 중요한가요?
2025 재보선은 단순한 '자리 채움'이 아닙니다.
차기 총선과 대선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'미니 총선' 성격을 지니고 있죠.
● 정당 지지율 변화
● 중도층 민심 흐름
● 수도권과 지방 민심 분포 파악
정치권에서는 이 결과에 따라 당대표 교체, 정계 개편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습니다.
🎯 유권자가 꼭 알아야 할 체크리스트
- ☑️ 내가 거주하는 지역이 해당되는지 확인
- ☑️ 사전투표 또는 본투표 중 언제 참여할지 계획
- ☑️ 후보자 정책과 공약 꼼꼼히 비교
- ☑️ 신분증 챙기기
- ☑️ 투표소 위치 미리 확인
👉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요!
사전투표현황, 투표율, 후보자정보 등 선거에 관한 모든 실시간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.
자주 묻는 질문 (FAQs)
선거일이 공휴일인가요?
2025년 4월 2일은 법정 공휴일이 아닙니다.
다만,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직장에서는 투표 시간 보장을 해야 하며, 거부 시 불이익 소지가 있습니다.
내가 사는 지역이 선거 대상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?
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는 '내 투표소 찾기' 서비스를 통해 주민등록 주소지 기준 해당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3월 중순 이후 구체적인 지역과 후보자 명단이 확정됩니다.
사전투표와 본투표 중 어떤 게 더 좋나요?
둘 다 동등하게 유효한 투표입니다.
단,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든 가능해 더 유연하며, 직장인이나 여행 중인 사람에게 유리합니다.
신분증을 깜빡하면 투표 못 하나요?
네, **신분증(실물)**이 없으면 투표가 불가능합니다.
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, 모바일운전면허증 등 본인 확인 가능한 공적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하세요.
✅ 결론: 한 표의 힘, 지금부터 준비하세요!
재보궐선거는 참여율이 낮을수록 조직표가 강한 후보가 유리합니다.
그러므로 내 한 표가 당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
정책을 중심으로 후보를 꼼꼼히 살펴보고,
2025년 4월 2일에는 꼭 투표소를 찾아주세요.
댓글